사진은 없지만 간단하게 써두겠습니다.
1. 홈페이지에서 언어 한국어로 바꿔서 진행해도 되고 일본어 그대로 써도 돼요.
1-1. 이거 지금 알았는데 메일도 한국어로 받을 수 있어요
2. 신분증은 한국 신분증 가능합니다.
2-1. 이사를 가서 신분증에 써진 주소랑 실 거주지가 다른 경우 저 처럼 뒤에 주소 변경란에 새로운 주소 스티커 붙여놓은 거 사진 첨부할 때 같이 첨부하면 통과 되는 것 같습니다. (사진 참고)
2-2. 사진이랑 주민번호는 가려도 될 거 같은데 저는 안 가렸어요. 다하고 나서 생각났음ㅋㅋ 이름이랑 주소 일치하는지 보는 거니까 가려도 될 거예요. 저처럼 까먹고 올려도 뭐... 일본 유명 기업이니까 악용 걱정은 안하셔도 될 거 같아요 한가하고 미친 거 아니고선 외국인 주민번호로 뭐할리도 없고 할 수 있는게 없어요...!
3. 제일 중요한 이름! 이거 쓰려고 글 썼다...
저는 처음에 일본어 홈페이지로 접속했고 익숙한 야마다 지로인가 되어 있길래 평소처럼 가타카나로 적었어요. 그리고 불일치로 수정하라고 연락왔습니다.😅 (사진 참고) 가타카나가 아닌 신분증에 적혀있는 한자 이름으로 적어주셔야 통과됩니다!
4. 저는 혹시 몰라서 서류 통과 전에 페이팔/카드 연결 두 개 전부 해두었습니다. 선량한 시민 어필ㅋㅋ...
5. state/province/region 이거 처음에 잘못 적어서 하나만 적었는데 통과 되더라고요. 근데 이름 바꾸면서 같이 바꿔 주긴했어요. 전 글자 수 부족해서 Republic of Korea/Gyeonggi-do 까지로 바꿨습니다.
여기 칸은 실수해도 처음에 풀 주소 제대로 잘 적었으면 확인 되니까 넘어가는 거 같아요~
3칸으로 나눠져있는데 글자 수 부족해서 깔끔하게 3칸에 다 나눠 적었습니다.
Gyeonggi-do, Republic of Korea
72, naninani-ro, naninani-si,
0000dong 0000ho
저는 동 호수 빼고 거꾸로 적었는데 거꾸로든 순서대로든 상관없어요. 실제 국내 들어와서 통관/배송할 땐 한국 분이 해주실테니 뒤죽박죽 적어둔 거 아니면 찰떡 같이 알아 들으실 겁니다... (익숙하실 듯ㅋㅋ...)
저도 여기 처음 써봐서 잘 모르긴하는데 하면서 헷갈렸던 부분만 정리해봤어용...
한국 분들은 토라노아나 쪽에서 회지 직구하는 분들이 많이 쓰더라고요! 막히면 사람들한테 물어보거나 그쪽으로 서치해서 찾아봐도 될 거 같아요~
가격은... 싸진 않아요... 수수료도 무게 마다 달라져요! 저는 최후의 방법이 여기라서 사용하는 거라😂
홈페이지에도 적혀있지만 본인 인증 완료 전에 물건 도착하면 창고에서 보관하고 인증되면 보내 준다고해요. 신청하고 바로 주소 써도 됩니당~
'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본 -> 한국 EMS 진행 과정 (0) | 2021.06.11 |
---|---|
토호 애니메이션 스토어 배대지 (4) | 2021.06.08 |
IIjmio 유심 결제 청구 금액2 (0) | 2021.05.23 |
포토샵 CC 2021 워터마크 넣기 / 만들기 (0) | 2021.05.23 |
타오바오 가입 시 초기 비밀번호 (?) (0) | 2021.05.17 |